핫이슈 서베이 결과 분석 핫이슈 서베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 ※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자료는 출처를 밝히시고 자유롭게 온.오프라인에 인용/복사/재배포/게시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나우앤서베이 직장인 설문, 출퇴근 만족해야 직장도 만족
- 작성일
- 19-07-19
- 조회수
- 2,842
■ 전국 직장인 25%는 출퇴근(왕복) 2시간 이상 소요
■ 출퇴근 시 가장 많이 하는 활동은 음악감상 64.1%
■ 출퇴근 시 가장 많이 받는 스트레스는 대중교통의 혼잡도 33%
■ 출퇴근 만족도는 도보, 자가용, 대중교통 순
■ 출퇴근 만족도는 소요시간과 교통수단과 관계가 많고
■ 출퇴근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 높아
=========================================================================================================================================
직장인들의 삶에서 출퇴근이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나 될까?
㈜엘림넷 나우앤서베이가 6월 19일부터 7월 16일까지 나우앤서베이 패널 622명(남성 369명, 여성 253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출퇴근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장인들의 출퇴근 만족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보통’을 선택한 응답자가 전체의 41.8%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만족’ (매우 만족함, 만족함) 30%, ‘불만족’(매우 불만족, 불만족) 28.2%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의 하루 평균 출퇴근(편도) 소요시간에 대해 조사한 결과 ‘30분 ~ 1시간’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44.4%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30분 미만’ 30.4%, ‘1시간 ~ 1시간 30분’ 18%, ‘1시간 30분 ~ 2시간’ 5.6%, ‘2시간 이상’ 1.6% 순으로 응답해 전체 응답자의 약 25%의 사람들은 출퇴근(왕복)에 2시간 이상의 시간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우앤서베이 설문조사 19.6.19 ~ 7.16
출퇴근 소요시간별 출퇴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출퇴근 소요시간이 늘어날수록 만족도는 반비례하여 낮아지고, 불만족도는 비례하여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요시간별’ 출퇴근 만족 비율에서 불만족 비율을 차감한 ‘만족-불만족 차이’ 그래프를 보면 그 추세가 더욱 뚜렷하여 ‘출퇴근 소요시간’이 출퇴근 만족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출퇴근 시 가장 자주 이용하는 교통수단으로는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버스-지하철 환승)이 전체 응답자의 55%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자가용’ 35.5%, ‘도보’ 6.4%, ‘자전거’ 1.4%, ‘기차’ 0.6%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별 출퇴근 만족도는 ‘도보’가 55%로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으로는 ‘자가용’ 39.8%, ‘대중교통’ 21.4% 순으로 나타났다. 불만족도는 거꾸로 ‘대중교통’이 35.7%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자가용’ 20.8%, ‘도보’ 0.12% 순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시 주로 하는 활동(복수 응답 허용)으로는 ‘음악 듣기’가 전체 응답의 64.1%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뉴스·콘텐츠·정보 검색’ 26.8%, ‘모바일 메신저/SNS’ 22.3%, ‘잠자기·휴식’ 18.5%, ‘영화/드라마/예능 감상’ 15%, ‘게임’ 13.5%, ‘독서’ 9.8%, ‘어학공부’ 5.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시간에 가장 많이 받는 스트레스는 ‘버스 및 지하철의 혼잡함’이 33%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당일 업무 스트레스와 긴장감’ 32%, ‘출퇴근 소요시간’ 19.6%, ‘배차시간 맞추기’ 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나우앤서베이 설문조사 19.6.19 ~ 7.16
직장인들의 현재 직장 만족도에 대하여 물어본 결과 ‘보통’이 전체 응답자의 40.7%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만족’(매우 만족함, 만족함) 38.1%, ‘불만족’(매우 불만족, 불만족) 28.2%의 순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만족도에 따른 직장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출퇴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 만족도가 비례하여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출퇴근 만족도별 직장 만족도(만족 – 불만족 지수) 그래프를 통해서 더욱 분명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인과관계는 분명하지 않지만 출퇴근 만족도와 직장 만족도 사이에 무시할 수 없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양 변수 간 통계적 상관계수(r)는 0.31로 나왔다.

종합적으로 이번 설문을 통해서 출퇴근 만족도와 직장 만족도 간에는 중요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출퇴근 만족도는 출퇴근 수단과 소요시간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 응답자는 전국의 19~73세의 직장인 남자 369명, 여자253명, 총 622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93%포인트이다.
이전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