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서베이 결과 분석 핫이슈 서베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 ※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자료는 출처를 밝히시고 자유롭게 온.오프라인에 인용/복사/재배포/게시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나우앤서베이 설문] 2025년,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당신의 소망은?
- 작성일
- 25-01-09
- 조회수
- 827
■ 국민이 직접 뽑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6대 주요 과제
- ‘물가 안정’, ‘경제 활성화’, ‘정치 개혁’, ‘양질의 일자리’, ‘주택 가격 안정’, ‘저출산 및 육아 복지 강화
■ 모든 연령 집단에서핵심 과제는 ‘생활물가 안정’과 ‘경제 활성화’
- 청년층(20~30대): 정치 개혁보다 물가와 주택가격 안정이 더중요
- 중년층(40대): 경제 안정 못지않게 정치 안정이 중요
- 장년층(50대 이상): 경제 활성화와 정치 안정이 중요
■ 국민이 직접 뽑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6대 전략 육성 산업
- ‘AI’, ’반도체’, ’친환경에너지’, ’바이오/헬스케어’, ‘K-산업(뷰티, 푸드등)’, ’기초 소재/부품’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연초부터 비상계엄, 대통령 탄핵, 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인한 정치·경제적 혼란과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새해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기 위해 ‘2025년 대한민국발전을 위한 당신의 소망은?’이란 주제의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는 2024년 12월 31일부터 2025년 1월 7일까지 8일간 만20세 이상 전국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025년, 대한민국 발전을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제는?’(3개 필수 선택)라고질문한 결과 ‘생활물가 안정’(45.6%)과 ‘경제 활성화’(44.9%)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정치 제도및 풍토’(29.4%), ’양질의 일자리 창출’(23.6%), ’주택가격 안정’(22.3%), ’저출산 및 육아 복지 강화’(20.2%)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다음으로는 국가 핵심전략 산업 육성(13.0%), 직장인 워라밸(근로 시간 단축)(12.2%), 범죄율 감소(11.5%), 의료 서비스 개선(11.2%), 저소득층 복지 강화(9.5%), 근로소득세 부담 완화(8.6%), 수도권 과밀 해소(8.3%), 환경보호(8.0%), 노인 복지 강화(7.9%), 교육 제도 및 환경 개선(6.9%), 교통 인프라 개선(6.2%), 남북 관계 개선(6.2%), 문화 관광 산업 발전(4.5%) 등의 순으로 각각 5~13% 이하의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위 질문에 대한 응답결과를 연령 집단별(20~30대 청년층, 40대 중년층, 50대 이상 장년층)로 분석해 본 결과, 모든 연령 집단에서 상위 2개 과제는 ‘생활물가 안정’과 ‘경제활성화’로 나타나, 새해 ‘경제적 불안정’과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3위부터는 각 연령 집단별로 세부적인 차이가 있었다.
청년층(20~30대, 348명 응답): 정치개혁보다 물가와 주택가격 안정이 더 중요
청년층인 20대와 30대는 ‘생활물가안정’(47.1%)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그다음으로 ‘경제 활성화’(37.1%)를 꼽았다. 이어서 ‘주택가격 안정’(26.4%)과‘양질의 일자리 창출’(23.9%)을 3위와 4위 과제로 꼽았다. 그리고‘정치 제도 및 풍토 개혁’(19.5%), ‘저출산 및 육아복지 강화’(19.5%)의 응답률은 20%에 미치지 못했다.
중년층(40대, 305명 응답): 경제 안정 못지않게 정치 안정이 중요
중년층인 40대 역시 ‘생활물가 안정’(48.2%), ‘경제 활성화’(45.6%)를 각각 1위와2위로 선택했다. 그러나 이들은 3위로 ‘정치 제도 및 풍토 개혁’(26.6%)을 강조하며, 경제적 안정 외에도 정치 환경의개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어서 ‘주택가격 안정’(22.6%), ‘저출산및 육아 복지 강화’(19.3%), ‘양질의 일자리 창출’(18.7%)등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