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선택

핫이슈 서베이 결과 분석 핫이슈 서베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 ※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자료는 출처를 밝히시고 자유롭게 온.오프라인에 인용/복사/재배포/게시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나우앤서베이 설문] 2025년,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당신의 소망은?

  • 작성일
  • 25-01-09
  • 조회수
  • 1,997

■ 국민이 직접 뽑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6대 주요 과제

- ‘물가 안정’,  ‘경제 활성화’,  ‘정치 개혁’,  ‘양질의 일자리’,  ‘주택 가격 안정’,  ‘저출산 및 육아 복지 강화

 

■ 모든 연령 집단에서핵심 과제는 ‘생활물가 안정’과 ‘경제 활성화’

- 청년층(20~30대): 정치 개혁보다 물가와 주택가격 안정이 더중요

- 중년층(40대): 경제 안정 못지않게 정치 안정이 중요

- 장년층(50대 이상): 경제 활성화와 정치 안정이 중요

 

■ 국민이 직접 뽑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6대 전략 육성 산업

- ‘AI’, ’반도체’, ’친환경에너지’, ’바이오/헬스케어’, ‘K-산업(뷰티, 푸드등)’, ’기초 소재/부품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연초부터 비상계엄, 대통령 탄핵, 트럼프 행정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인한 정치·경제적 혼란과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새해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기 위해 ‘2025년 대한민국발전을 위한 당신의 소망은?’이란 주제의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는 2024년 12월 31일부터 2025년 1월 7일까지 8일간 만20세 이상 전국 패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2025년, 대한민국 발전을위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제는?’(3개 필수 선택)라고질문한 결과 ‘생활물가 안정’(45.6%)과 ‘경제 활성화’(44.9%)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정치 제도및 풍토’(29.4%), ’양질의 일자리 창출’(23.6%), ’주택가격 안정’(22.3%), ’저출산 및 육아 복지 강화’(20.2%)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다음으로는 국가 핵심전략 산업 육성(13.0%), 직장인 워라밸(근로 시간 단축)(12.2%), 범죄율 감소(11.5%), 의료 서비스 개선(11.2%), 저소득층 복지 강화(9.5%), 근로소득세 부담 완화(8.6%), 수도권 과밀 해소(8.3%), 환경보호(8.0%), 노인 복지 강화(7.9%), 교육 제도 및 환경 개선(6.9%), 교통 인프라 개선(6.2%), 남북 관계 개선(6.2%), 문화 관광 산업 발전(4.5%) 등의 순으로 각각 5~13% 이하의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위 질문에 대한 응답결과를 연령 집단별(20~30대 청년층, 40대 중년층, 50대 이상 장년층)로 분석해 본 결과, 모든 연령 집단에서 상위 2개 과제는 ‘생활물가 안정’과 ‘경제활성화’로 나타나, 새해 ‘경제적 불안정’과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3위부터는 각 연령 집단별로 세부적인 차이가 있었다. 

 

 

 

 

청년층(20~30대, 348명 응답): 정치개혁보다 물가와 주택가격 안정이 더 중요

청년층인 20대와 30대는 ‘생활물가안정’(47.1%)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그다음으로 ‘경제 활성화’(37.1%)를 꼽았다. 이어서 ‘주택가격 안정’(26.4%)과‘양질의 일자리 창출’(23.9%)을 3위와 4위 과제로 꼽았다. 그리고‘정치 제도 및 풍토 개혁’(19.5%), ‘저출산 및 육아복지 강화’(19.5%)의 응답률은 20%에 미치지 못했다.

 

 

 

 

중년층(40대, 305명 응답): 경제 안정 못지않게 정치 안정이 중요

중년층인 40대 역시 ‘생활물가 안정’(48.2%), ‘경제 활성화’(45.6%)를 각각 1위와2위로 선택했다. 그러나 이들은 3위로 ‘정치 제도 및 풍토 개혁’(26.6%)을 강조하며, 경제적 안정 외에도 정치 환경의개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어서 ‘주택가격 안정’(22.6%), ‘저출산및 육아 복지 강화’(19.3%), ‘양질의 일자리 창출’(18.7%)등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장년층(50대 이상, 347명 응답): 경제활성화와 정치 안정이 중요

장년층인 50대 이상은 ‘경제 활성화’(52.2%)가 1위, ‘생활물가안정’(41.8%)과 ‘정치 제도 및 풍토 개혁’(41.8%)이 공동 2위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27.7%), ‘저출산및 육아 복지 강화’(21.6%), ‘주택가격 안정’(17.9%) 등을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세대별주요 차이점과 공통점

전체적으로, 모든 연령 집단에서 6위 안에 포함된 중요 과제들은 동일하였다. 다만, 세대별 특성에 따라 순위 구성이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년층의 경우에는 생활물가와 주택가격에 다른 세대보다 더 민감하고 정치 이슈에 덜 민감하다는 것을보여주었다.

장년층에서는 정치 제도및 풍토 개혁에 대한 소망이 다른 세대보다 더 민감하고, 주택가격에 대해서는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치 제도 및 풍토 개혁’을중요 과제로 꼽은 비율은 청년층(19.5%)에서 중년층(26.6%),장년층(41.8%)으로 갈수록 더 높아, 연령이 높을수록 ’정치 안정’의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각 세대의 특성과 관심사에 따라 대한민국 발전을위한 과제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2025년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전략 육성 산업은?

두 번째 설문 문항으로‘2025년, 대한민국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할 산업은?’(3개 필수 선택)이라는 질문에는 ‘AI 산업’(40.4%), ’반도체 산업’(36.5%), ’친환경 에너지 산업’(32.7%), ’바이오/헬스케어 산업’(22.3%), ‘K산업(뷰티, 예술, 푸드 등)’(20.8%), ’기초 소재/부품 산업’(20.6%)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그다음으로 제조업(20.2%), 로봇(18.1%), 전기차 배터리(17.5%), 우주 항공(16.3%), 스마트 농업(14.4%), 양자컴퓨터(13.7%), 스마트시티(13.4%), 금융(13.1%) 산업순으로 각각 13~20% 사이의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본 설문조사를 종합해보면, 모든 세대의 응답자들이 공통으로 ‘경제 활성화’와 ’생활물가 안정’을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세대별로는 청년층의 주거 안정 요구,중년층의 정치 제도 개선 필요성, 장년층의 정치 및 경제 안정 중시 등 각기 다른 관심사와우선순위가 드러나, 정책 설계 시 세대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전략적으로 지원해야할 산업으로 ‘AI’,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등 미래 첨단 기술과 지속 가능성 중심의 산업이 높은 선호도를 보여, 이들산업을 국가 성장 동력으로 집중하여 육성할 필요성에 대해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설문의 응답자는총 1,000명(남자565명, 여자 435명)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다. 응답자의 연령별 분포는 20대 118명, 30대 230명, 40대 305명, 50대 225명, 60대이상은 122명이었다.

 

 

 

 

 

이전 댓글 보기

로그인 후 등록이 가능합니다.
견적요청
실시간상담
무료체험신청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해 보세요.

현재 접속하신 브라우저는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아래 브라우저의 최신 버전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브라우저의 설치 화면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