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서베이 결과 분석 핫이슈 서베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 ※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자료는 출처를 밝히시고 자유롭게 온.오프라인에 인용/복사/재배포/게시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나우앤서베이 설문, ‘넷플릭스' 시청률 ‘케이블 방송’ 밀어내고 ‘지상파 방송’ 위협
- 작성일
- 22-09-26
- 조회수
- 3,665
나우앤서베이, ‘저녁7시 이후 주로 시청하는 영상 매체 및 콘텐츠 현황’ 설문조사 실시
■ 귀하가 오후 7시 이후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는 무엇입니까?
1위 유튜브(46.9%)
2위 지상파
방송(18.5%)
3위 넷플릭스(16.5%)
4위 케이블방송(11.1%)
5위 티빙(2.4%)
* 연령대별 특징
-’유튜브’에 대한 시청률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아
-’지상파 방송’에 대한 시청률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아
■ 귀하가 오후 7시 이후 주로 시청하는 콘텐츠의
장르는 무엇입니까?
1위 드라마/영화(37.2%)
2위 예능(30.3%)
3위 지식정보(10.6%)
4위 생활(4.9%)
5위 음악(4.5%)
* 연령대별 특징
- 20대~30대 집단에서는 ‘예능’, 40~60대 이상 집단은 ‘드라마/영화’ 시청률이 가장 높아
- 연령대 높아질수록 ‘지식정보’ 시청률 높아져
■ 귀하는 현재 1인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이십니까?
아니오(91.1%) > 예(8.9%)
- 2019년 동일 설문 질문 대비 1.3%p 증가
■ 귀하가 1인 크리에이터로 제작하는 컨텐츠의 장르는 무엇입니까?
1위 예능 16.9%
2위 생활 15.7%
3위 드라마/영화 15.7%
4위 음악 10.1%
5위 교육 10.1%
(총 응답자 1,001명,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0%p)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저녁7시 이후 주로 시청하는 영상 매체 및 콘텐츠 현황’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2년 9월 8일부터 9월 13일까지며 설문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전국 패널 회원 총 1,001명이다.
‘오후 7시
이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영상 매체’를 질문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자가 ‘유튜브(46.9%)’를 선택했다. 다음으로는 ‘지상파방송(18.5%)’,
‘넷플릭스(16.5%)’, ‘케이블방송(11.1%)’, ‘티빙(2.4%)’, ‘웨이브(1.5%)’, ‘디즈니플러스(1.0%)’, ‘틱톡(0.8%)’, ‘쿠팡플레이(0.5%)’, ‘네이버TV(0.3%)’, ‘왓챠(0.2%)’, ‘아프리카TV(0.2%)’, ‘시즌(0.1%)’, ‘트위치(0.1%)’, ‘카카오TV(0.0%)’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유튜브’에 대한 시청률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지상파 방송’에 대한 시청률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위 결과를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나우앤서베이가 동일한 패널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와 비교했을때 다음과 같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코로나 최대 수혜 매체인 ‘넷플릭스’는 2019년 4.9%에서 2022년 16.5%로 11.6%포인트가 올랐다. 반면 유튜브는 2019년 56.6%로 과반이 넘었던 것에 반해 2022년에는 46.9%로 9.7%포인트 하락을 기록했다.

‘넷플릭스’의 가파른 성장으로 2019년 대비 순위에도 변화가 있었다. 저녁 7시 이후 가장 많이 시청하는 영상 매체1위와 2위는 2019년에 이어 ‘유튜브’(46.9%)와 ‘지상파방송’(18.5)이 차지하였다. 2019년 9%로 3위를 기록한 ‘케이블 방송’은 2022년 11.1%로 시청률이 상승했으나, 16.5%를 기록한 ‘넷플릭스’에 밀려 4위를 기록했다. 2019년 4.9%로 4위를 기록했던 ‘넷플릭스’는 2022년 16.5%를 기록하며 3위를 기록했다. 3위인 ‘넷플릭스’와 2위인 ‘지상파 방송’ 과는 불과 2.0%포인트 밖에 차이가 없어 ‘넷플릭스’가 ‘지상파 방송’의 2위 자리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티빙(2.4%)’, ‘웨이브(1.5%)’, ‘쿠팡플레이(0.5%)’, ‘네이버TV(0.3%)’, ‘왓챠(0.2%)’, ‘아프리카TV(0.2%)’, ‘시즌(0.1%)’, ‘카카오TV(0.0%)’ 등 국내 토종 OTT 서비스 사업들간의 경쟁도 치열하지만 이들의 시청률을 모두 합해도 5.2%로 넷플릭스(16.5%)의 3분의 1도 채 되지 않는 상황이다.
‘저녁 7시 이후 주로 시청하는 콘텐츠의 장르는 무엇입니까?’라는 질문 결과, 1위는 37.2%로 ‘드라마/영화’, 2위는 30.3%로 “예능”, 3위는 10.6%로 “지식정보”로 나타났다.
그 외에는 ‘생활(4.9%)’, ‘음악(4.5%)’, ‘게임(2.7%)’, ‘브이로그(2.2%)’, ‘먹방(1.9%)’, ‘뷰티/패션(1.2%)’,
‘교육(1.2%)’, ‘리뷰(0.7%)’, ‘퍼포먼스(0.1%)’, ‘종교(0.1%)’, 기타(2.5%)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대 ~ 30대 집단에서는 ‘예능’의 시청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40대 ~ 60대 이상 집단에서는 ‘드라마/영화’의 시청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식정보’ 장르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시청률이 높게 나타났다.
‘귀하는 현재 1인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이십니까?’라는 질문 결과, ‘예(8.9%)’, ‘아니오(91.1%)’로 2019년에 설문과 비교했을 때1인 크리에이터 활동 응답 비율이 1.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크리에이터로 활동하고 있는 응답자 대상으로 ‘1인 크리에이터로 제작하는 컨텐츠의 장르는
무엇입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예능(16.9%)’, ‘생활(15.7%)’, ‘드라마/영화 (15.7%)’, ‘음악(10.1%)’,
‘교육(10.1%)’, ‘브이로그(7.9%)’, ‘지식정보(6.7%)’, ‘먹방(5.6%)’, ‘리뷰(4.5%)’, ‘게임(3.4%)’, ‘뷰티/패션(1.1%)’, ‘키즈(1.1%)’,
‘기타(1.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설문의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전체 패널회원 남자 534명, 여자 467명 총 1,001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이다.
<보도자료 작성 책임자>
엘림넷 나우앤서베이 책임연구원 이현석
이전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