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 서베이 결과 분석 핫이슈 서베이에 대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 ※ 핫이슈 서베이 결과분석 자료는 출처를 밝히시고 자유롭게 온.오프라인에 인용/복사/재배포/게시하실 수 있습니다.
제목
나우앤서베이, 광복절 77주년 기념 ‘한국인의 한국 인식’ 설문조사 실시
- 작성일
- 22-08-11
- 조회수
- 3,404
나우앤서베이, 광복절 77주년 기념 ‘한국인의 한국 인식’ 설문조사 실시
■ 당신이
한국인으로서 가장 큰 자부심을 느끼는 것은?
1위 K-POP 스타 16.4%
2위 의료 시스템 13.4%
3위 인터넷/통신 시설 13.3%
4위 한류 드라마/영화 12.1%
5위 기업 활동 10.3%
* 연령대별 특징
- ‘기업 활동’에 대한 자부심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아
- ‘한국 음식’에 대한 자부심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아
- 60대 이상 집단에서는 ‘4계절 아름다운 국토’에 대한 자부심이 가장 커
- 20대 집단에서 ‘스포츠 스타’에 대한 자부심이 남달라
■ 당신이
한국인으로서 가장 힘든 점은?
1위 비싼 집값 29.3%
2위 지나친 경쟁과 비교 21.8%
3위 정치적 갈등 16.7%
4위 사회적 갈등 12.2%
5위 획일적인 교육 제도 6.5%
* 연령대별 특징
- 20대~50대 집단에서는 ‘비싼 집값’, 60대 이상 집단은 ‘정치적 갈등’이 가장 힘들어
- 50대~60대 이상 집단에서 ‘전쟁 위협’에 대한 걱정이 상대적으로 커
■ 향후
10년 우리나라의 가장 큰 과제는?
1위 집값 안정 20.4%
2위 사회적 안정 13.5%
3위 남북한 교류와 통일 12.4%
4위 정치적 안정 11.3%
5위 노인 복지 확충 9.8%
* 연령대별 특징
- 20대 ~ 40대 집단은 ‘집값 안정’, 50대 ~ 60대 이상 집단은 ‘남북한 교류와 통일’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선택
- 30대 집단은 ‘육아/교육
복지 강화’, 20대 집단은 ‘젠더 갈등 완화’를 중요 국가 과제로 생각해
(총응답자 1,000명,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0%p)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광복절 77주년을 기념하여 ‘한국인의 한국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2년 8월
2일부터 8월 4일까지며
설문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전국 패널 회원 총 1,000명이다.

‘당신이 한국인으로서 가장 큰 자부심을 느끼는 것’을 물은 결과, ‘K-POP 스타(16.4%)’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그다음에 ‘의료 시스템(13.4%)’, ‘인터넷/통신 시설(13.3%)’, ‘한류 드라마/영화(12.1%), 기업 활동 (10.3%), ‘4계절의 아름다운 국토(9.9%)’, 한국 음식(8.0%)’, ‘높은 교육수준(6.3%)’, ‘스포츠 스타(5.7%)’, ‘대중 교통 시스템(3.3%)’, ‘정치 제도(1.3%)’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대별로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요인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기업 활동’에 대한 자부심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음식’에 대한 자부심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 20대 집단에서 ‘스포츠 스타’에 대한 자부심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0대 이상 집단에서는 ‘4계절 아름다운 국토’에 대한 자부심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당신이 한국인으로서 가장 힘든 점은?’이라는 질문 결과, ‘비싼 집값(29.3%)’,
‘지나친 경쟁과 비교(21.8%)’, ‘정치적 갈등(16.7%)’,
‘사회적 갈등(12.2%)’, ‘획일적인 교육 제도(6.5%)’,
‘전쟁 위협(6.1%)’, ‘교통 체증(2.8%)’, ‘인구
과밀(2.7%)’, ‘치안 불안(1.3%)’, ‘언어 소통(0.6%)’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대별로 한국인으로서 가장 힘들게 느끼는 요인에 대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20대~50대 집단에서는 ‘비싼 집값’을 한국인으로서 힘든 요인으로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60대 이상 집단은 ‘정치적 갈등’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또한 50대~60대 이상 집단에서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전쟁 위협’에 대한 걱정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향후 10년
우리나라의 가장 큰 과제는?’이라는 질문에 ‘집값 안정(20.4%)’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다음에 ‘사회적 안정(13.5%)’, ‘남북한 교류와 통일(12.4%)’, ‘정치적 안정(11.3%)’, ‘노인 복지 확충 (9.8%)’, ‘기술 경쟁력 강화 (9.0%)’, ‘육아/교육 복지 강화 (8.5%)’, ‘교육 제도 개혁 (5.0%)’, ‘젠더 갈등 완화(3.7%)’, ‘군사력 강화(3.1%)’, ‘외교력 강화(2.3%)’, ‘교통 체증 해소(1.0%)’ 순으로 나타났다.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대별로 향후 10년 우리나라의 가장 큰 과제에 대한 응답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20대~40대 집단에서는 가장 큰 과제로 ‘집값 안정’을 선택한 반면, 50대~60대 이상 집단에서는 ‘남북한 교류와 통일’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또한 30대 집단에서는 ‘육아/교육 복지 강화’를 ‘집값 안정’다음 가장 중요한 과제로 선택했으며, 20대 집단에서는 유일하게 ‘젠더 갈등 완화’를 5위 권 내 중요 과제로 선택했다.

본 설문의 응답자는 나우앤서베이 전체 패널회원 남자 581명, 여자 419명 총 1,000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0%포인트이다.
보도자료 배포일:
2022. 8. 11
<보도자료 작성 책임자>
엘림넷 나우앤서베이 책임연구원
이현석
전화: 02-3149-4960
이메일: nownsurvey@elim.net
엘림넷 나우앤서베이 선임연구원
강민선
전화: 02-3149-4962
이메일: nownsurvey@elim.net
이전 댓글 보기